더 쉽고 편리하게
이용해보세요!
‘무주택자’ 조건은 주택청약, 대출 등 여러 곳에서 사용되고 있어요.
하지만,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도 무주택자로 보는 경우가 있어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러므로, 무주택자의 정의는 무엇인지 알아보면서 자신이 무주택자 자격에 해당하는지 확인해보세요!
무주택자란 쉽게 얘기해 집이 없는 자 또는 주택 분양권을 가지지 못한 자를 의미해요.
일단 무주택자가 되기 위해서는 본인과 세대원이 모두 무주택자여야 하는데요.
여기서 세대원이라고 하면 청약을 하려고 하는 사람의 주민등록등본상에 있는 모든 사람을 의미하며, 같은 세대원이 모두 무주택자여야 무주택자 조건을 충족할 수 있죠.
해당 법리를 살펴보면 주택을 소유한다는 것은 주거와 분양 2가지로 구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주거용이라고 해서 모든 주택을 말하는 것은 아니고, 공부상 주택(건축물대장)에 주택으로 표시된 것을 말해요.
예로 오피스텔은 주택 외 건축물인 업무시설로 표기되기 때문에 오피스텔을 소유한 자는 무주택자로 구분한다고 생각하면 돼요.
분양권은 쉽게 말해 아파트에 입주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해요.
이때 분양권은 청약 당첨, 재개발로 인한 분양권 그리고 구매한 분양권을 포함하는 개념이에요.
이처럼 분양권을 가지지 못한 경우에는 무주택자로 구분되지만 단, 예외 사항들이 있어요.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도 무주택으로 보는 경우가 있는데요. 아래에서 자세하게 확인해보세요.
이 경우엔 다주택자여도 무주택자으로 구분해요.
상속을 받은 시점에서 3개월 이내 처분할 시에는 무주택으로 구분해요.
비도시 지역 단독 주택은 사용승인 후 20년이 지났고, 사용 면적이 85m² 이하, 상속으로 이전받은 경우에는 무주택으로 구분해요.
공공분양의 경우 면적과 주택금액과 무관하게 유주택으로 들어가지만, 20m² 이하의 사용면적을 가진 소형 주택이 1채인 경우에만 무주택으로 구분해요
민영주택의 경우 60m² 사용면적 이하인 경우와 가격이 수도권은 1억 3천만원 이하, 수도권 외 지역은 8천만원 이하인 경우 1채 일때 무주택으로 구분해요
미분양은 청약 시 미달이 된 것을 말하며, 미분양 주택은 분양받을 경우 등기 전까지 주택으로 보지 않아요. 단, 대출 규제에는 주택으로 간주해요.
미허가 건물의 경우 허가를 받지 못한 건물이지만, 당시 적법하게 건축된 건물임을 증명한다면 이 경우에도 무주택으로 구분해요.
폐가는 공부상 주택으로 등록되어 있으나, 낡아서 사람이 살지 못하여 폐가가 되었거나 멸실된 경우를 말하며, 이 경우도 무주택으로 구분해요.
주택 소유 여부에 관한 내용은 한국 부동산원 청약홈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청약홈에서 [로그인] 진행한 후에 [청약 자격 확인] [주택 소유 확인]을 선택하면 조회가 가능하죠.
단, 대법원상의 등기기록은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100% 적격자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이처럼 여러분들이 주택을 소유하고 있어도 무주택으로 구분되는 예외 사항들이 있기 때문에 무주택자로서 받는 혜택들과 청약, 대출 상품들을 이용하실 수 있는데요.
반드시 꼼꼼히 무주택자의 요건을 확인하시고, 조건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많은 주택 정책들 이용하시길 바라요.
한 번도 주택을 소유한 적이 없는 무주택자의 경우 전세 자금 대출 부분에서 더 많은 혜택을 받으실 수 있으니, 이 점도 꼭 기억해주세요!
※ 본 콘텐츠는 고방 서포터즈 1기 ‘정세윤 님’과 함께 작성하였습니다.
1명이 추천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