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 무주택 기준 완화, 집주인도 이제 무주택자로? 변화할 청약시장 정리

혼잘이슈
24-12-18읽음 1,769

최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청약 제도 개정 소식으로 부동산 시장이 뜨겁습니다.

 

18일부터 수도권에서 전용면적 85㎡ 이하, 공시가격 5억 원 이하인 비아파트 소유자도 청약에서 무주택자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됐어요.

 

기존보다 대폭 완화된 기준인데요, 이로 인해 수도권 아파트 청약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에요. 이번 제도 변경이 청약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자세히 알아볼까요?

 

 


💡 무주택 기준 완화, 무엇이 바뀌었을까?

 

이번 개정으로 청약에서 무주택자로 인정받을 수 있는 비아파트 기준이 확대되었어요.

 

기존에는 전용면적 60㎡ 이하, 공시가격 1억 6000만 원 이하의 비아파트만 해당됐지만, 이제는 전용면적 85㎡ 이하, 공시가격 5억 원 이하인 경우도 포함돼요.

 

 

이를 통해 시세 약 7~8억 원 상당의 빌라 소유자도 청약에서 무주택자로 간주되며 1순위 신청이 가능해졌어요. 특히 수도권뿐 아니라 지방의 경우에도 공시가격 3억 원 이하 기준으로 완화되었답니다.

 

 


👀 청약 경쟁, 얼마나 치열해질까?

 

이러한 변화는 청약 시장의 판도를 바꿀 전망이에요. 신축 아파트의 인기가 워낙 높은 상황에서 빌라 보유자들까지 경쟁에 가세하며 다음과 같은 변화가 예상돼요:

  1. 청약 가점 인플레이션 심화
    • 무주택 기간 가점(최대 32점)을 인정받는 대상자가 대폭 늘어나면서, 가점 경쟁이 더 치열해질 거예요.
  2. 특별공급 경쟁 격화
    • 생애 최초, 신혼부부 특별공급은 무주택자만 지원 가능하죠. 이곳에도 빌라 소유자들이 대거 참여할 가능성이 커요.
  3. 수도권 인기 단지 청약 경쟁률 상승
    • 특히 서울, 경기 주요 지역의 아파트는 수백 대 1의 경쟁률이 나올 수도 있어요.

 

 


📊 비아파트 시장은 어떻게 변할까?

 

무주택 인정 기준이 완화된 배경에는 비아파트 시장의 침체가 있어요.

  • 2023년 비아파트 거래량은 12만 6000건으로 전년 대비 33% 감소했어요.
  • 착공 물량도 줄어들며 10월까지 고작 2만 9000가구에 그쳤답니다.
  • 이는 전세 사기, 역전세 문제로 비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급감한 여파예요.

정부는 이 같은 침체를 해결하고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 이번 개정안을 시행했어요. 하지만 청약 시장의 변화와 더불어 비아파트 시장의 회복도 시간이 걸릴 전망이에요.

 

 


🔑 무주택 인정이 가져올 기회와 준비 사항

 

이번 제도 개정은 무주택자 인정 요건을 완화함으로써 더 많은 사람들에게 청약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는 취지인데요,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점을 준비해야 할까요?

  1. 공시가격 확인 필수
    • 공시가격은 입주자 모집 공고 시점 기준이에요. 현재 기준에 맞는지 꼭 체크하세요.
  2. 청약 가점 관리
    • 무주택 기간, 부양가족 등 가점을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해요.
  3. 특별공급 활용
    • 생애 최초, 신혼부부 특별공급 자격이 된다면 적극적으로 도전해 보세요.

 


이처럼 무주택 기준 완화는 시장의 흐름을 크게 바꿀 가능성이 커요.

 

특히 1인가구, 신혼부부 등 청약을 준비 중인 분들에게 더 많은 선택지를 제공할 전망인데요. 변화된 제도를 잘 활용해 나만의 보금자리를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 😊

 

다른 부동산 정책 관련 글도 확인해 보세요! 👇

 

 


매주 올라오는 1인가구정보,

필요한 것만 골라서 알려드립니다

 

✅ 위클리픽 알림톡 신청하기 > 

 

 

이 아티클 어떠셨나요?

추천해요

댓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댓글 작성 중
전체 댓글
댓글작성
앱 설치주소를 메시지로 보내드립니다.
・ 하루 최대 2회까지 무료메시지 전송이 가능합니다.
・ 입력한 휴대폰 번호는 별도로 저장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