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달라지는 청년도약계좌, 지원금 더 많이 받는 방법은?

혼잘혜택
24-12-31읽음 3,429

청년도약계좌가 2025년부터 더 큰 혜택을 제공합니다.

 

2024년 기준 누적 가입자 157만 명을 기록하며 인기를 끌었던 이 제도에 정부가 지원금을 확대하기로 했어요. 특히, 연 최대 9.54% 적금 효과를 누릴 수 있는 매력적인 상품으로 업그레이드되면서 더 많은 청년들이 주목할 것 같아요.

 

어떤 점이 바뀌고,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알아볼까요? 😊

 


💡 청년도약계좌 지원금, 얼마나 늘어날까?

 

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는 연소득 2400만원 이하 40만원, 3600만원 이하 50만원, 4800만원 이하 60만원 등 소득에 따라 정부기여금의 한도가 정해져 있었는데요.

 

2025년부터는 소득 구간과 관계없이 실제 납입 금액만큼 지원금을 받을 수 잇도록 모든 소득 구간에서 매칭 한도를 납입 한도(월 70만원)까지 확대한다고 해요. (※ 단, 확대된 구간에는 매칭 비율 3%를 적용한 기여금을 지급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소득 2400만원 이하 청년이 월 70만원을 납입할 경우, 기존에는 40만원까지만 매칭 비율(6%)로 2만4000원을 받았지만, 2025년부터는 추가 구간(30만원)에 대해 3%의 매칭 비율로 총 3만3000원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어요.

 

 

 

 


🏦 가입 유지하면 더 많은 혜택!

 

청년도약계좌는 단순히 적금 이자 효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혜택을 제공하는데요. 25년도에는 이런 부가 혜택이 더욱 강화됐어요.

 

1. 혜택 완화 적용

- 기존 : 만기(5년)이 도래하기 전 중도해지 시 비과세 혜택 미적용 및 기여금이 환수되었는데요.

- 변경 : 3년 이상만 유지해도 비과세 혜택이 유지되고, 정부 기여금은 60%만 반환하면 돼요. 

 

2. 2년 가입시 혜택 제공

- 기존 : 가입 유지 기간에 따른 별도의 혜택이 없었고, 부분 인출이 불가능했어요.

- 변경 : 2년 이상 가입 시 ▲개인 신용평가점수 자동 부여(+5~10점) ▲납입 원금 40%까지 부분 인출 가능

 

이로 인해, 중간에 자금이 필요하더라도 부담 없이 가입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어요.

 


📅 청년도약계좌 가입, 언제 어디서?

 

2025년 1월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은 1월 2일부터 10일까지로 예정되어 있어요. 주요 은행의 모바일 앱을 통해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 가입 가능한 은행:
    •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기업, 국민 등
    • 아이엠, 부산, 광주, 전북, 전남은행

2024년에는 신규 가입자만 106만 명을 기록하며 뜨거운 관심을 받았던 만큼, 2025년에는 더 많은 청년들이 가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적금 이상의 효과, 청년도약계좌를 적극 활용하자

 

청년도약계좌는 일반 적금 상품으로 환산 시 연 최대 9.54%의 이자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강력한 재테크 수단이에요.

 

특히, 기여금 확대와 다양한 부가 혜택이 더해져 청년들의 재정적인 안정을 도와줄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2025년부터 새롭게 달라지는 조건과 혜택을 꼼꼼히 살펴보고, 놓치지 말고 신청해보세요. 또 다른 유익한 재테크 정보가 궁금하다면 다른 콘텐츠도 확인해보세요! 💼

 

 


매주 올라오는 1인가구정보,

필요한 것만 골라서 알려드립니다

 

✅ 위클리픽 알림톡 신청하기 > 

 

 

이 아티클 어떠셨나요?

추천해요

댓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댓글 작성 중
전체 댓글
댓글작성
앱 설치주소를 메시지로 보내드립니다.
・ 하루 최대 2회까지 무료메시지 전송이 가능합니다.
・ 입력한 휴대폰 번호는 별도로 저장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