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 연평균 소득 및 평균지출은 얼마일까?

혼잘이슈
25-01-02읽음 582

1인 가구의 경제활동과 소비 패턴은 우리 사회의 중요한 트렌드 중 하나로 자리 잡았어요. 재작년 1인가구의 평균 소득은 3223만 원, 소비 지출은 1956만 원으로 나타났는데요.

 

그렇다면 1인 가구의 경제적 특징과 이를 뒷받침할 정책적 지원은 어떤 모습일까요?

 

 


💵 1인 가구 소득과 소비, 얼마나 벌고 얼마나 쓸까? 

 

 23년 1인가구는 연평균 3223만 원을 벌어 1956만 원을 소비했어요.

  • 1인 가구 소득 증가율: 전년 대비 7.1% 증가 (213만 원 상승)
  • 소득 분포:
    • 3000만 원 미만: 55%
    • 5000만 원 이상: 18%
    • 1억 원 이상: 단 2%

소득 증가에도 불구하고, 1인 가구의 평균 소득은 전체 가구(7185만 원)의 약 44.9%에 그쳤어요.

 

 


🏠주거비와 생필품 비용, 1인 가구의 주요 지출 항목은? 

 

1인 가구가 가장 많이 지출한 항목은 주거·수도·광열비(18.2%)로 나타났어요.

  • 주요 지출 비목 비중
    • 주거·수도·광열비: 18.2%
    • 음식 및 숙박비: 18.0%
    • 식료품·비주류 음료: 12.2%

이 외에도 월평균 보건 지출13만 2000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어요. 주거 안정과 기본 생활비가 주요 지출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1인 가구가 체감하는 경제적 부담은 여전히 큰 것으로 보입니다.

 


📊 자산과 부채, 1인 가구의 현실은? 

 

1인 가구의 평균 자산은 2억 1217만 원, 부채는 4012만 원으로 집계됐어요.

  • 자산 증가율: 전년 대비 1.3% 증가
  • 부채 증가율: 전년 대비 9.9% 증가

특히 1인 가구는 금융자산 비중이 높고, 부동산 비중은 낮은 특징을 보여요. 이는 1인 가구가 상대적으로 부동산 투자 여력이 부족하다는 점을 반영합니다.

 


🛠️ 1인 가구가 필요로 하는 지원 정책은? 

 

1인 가구는 주택 안정 지원(37.9%)을 가장 필요로 한다고 응답했어요.

  • 돌봄 서비스 지원: 13.9%
  • 심리·정서적 지원: 10.3%

이 외에도 여가활동 참여율이 높아지며, 휴식 및 취미 활동 지원도 중요하게 떠오르고 있어요. 특히 하루 평균 여가시간(평일 4.3시간, 주말 6.3시간) 활용이 중요한 부분으로 나타났습니다.

 

 


1인 가구는 우리 사회에서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가구 형태로, 경제적 현실과 사회적 지원 모두가 중요한 문제예요. 주거 안정과 기본 생활비 지원을 강화하며, 심리적 안정과 여가활동 지원 등 다각적인 정책적 노력이 필요합니다.

 

1인 가구로 살아가는 당신, 지금이 바로 경제적 계획을 세우고 필요한 지원 정책을 찾아볼 때예요. 더 나은 삶을 위해 실질적인 정보를 활용해 보세요! 😊

 

더 많은 관련 정보를 알고 싶다면 아래 글도 함께 읽어보세요! 👇

 

 


매주 올라오는 1인가구정보,

필요한 것만 골라서 알려드립니다

 

✅ 위클리픽 알림톡 신청하기 > 

 

 

이 아티클 어떠셨나요?

추천해요

댓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댓글 작성 중
전체 댓글
댓글작성
앱 설치주소를 메시지로 보내드립니다.
・ 하루 최대 2회까지 무료메시지 전송이 가능합니다.
・ 입력한 휴대폰 번호는 별도로 저장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