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9.54% 이자 받는 법 있다? '청년도약계좌' 25년 신청 시작!

혼잘혜택
25-02-03읽음 3,139

요즘 은행 예·적금 금리가 뚝뚝 떨어지고 있어요. 불과 몇 달 전만 해도 5% 넘는 정기예금이 많았는데, 이제 3%대 금리도 찾아보기 어려워졌죠.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도 최대 9.54% 금리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어요. 바로 청년도약계좌!

 

지난해 162만 명이 가입할 정도로 핫한 상품인데요. 5년 동안 꾸준히 저축하면 정부 지원금 + 비과세 혜택까지 받을 수 있어서 최대 5,061만 원을 만들 수도 있어요. 이번 달 2월 3일부터 14일까지 신청 가능하니, 조건을 잘 따져보고 기회를 잡아보세요! 🚀

 

 


💡 청년도약계좌가 뭐야? 가입하면 뭐가 좋아?

 

청년도약계좌정부가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 장기 저축 상품이에요.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 지원금을 주고, 은행 우대금리까지 적용돼 최대 9.54% 이자를 받을 수 있어요.

 

✅ 5년 만기 후 목돈 마련 가능 (최대 5,061만 원)

✅ 정부 지원금 매칭 (월 최대 3.3만 원)

✅ 비과세 혜택 (이자소득세 15.4% 면제)

✅ 성실 납입 시 신용점수 가점 부여

✅ 2025년 하반기부터 부분 인출 가능 예정

 

💰 예시 : 월 70만 원씩 5년 저축 → 만기 시 약 5,061만 원 수령 가능!

 

출처 : 서민금육진흥원

 


✅ 청년도약계좌 2월 신청, 어떻게 하면 될까?

 

이번 달 신청 기간은 2월 3일(월)부터 2월 14일(금)까지예요. 신청 후 가입 요건 확인을 거쳐, 적격자로 선정되면 2월 20일부터 계좌 개설이 가능해요.

 

📌 신청 일정

 

 


✅ 신청 자격이 어떻게 될까?

 

모든 청년이 신청할 수 있는 건 아니에요. 소득과 연령 기준을 충족해야 해요.

 

👥 신청 자격

연령 : 만 19~34세

개인 소득 : 총 급여 7,500만 원 이하

가구 소득 : 중위소득 180% 이하

 

📌 가입 불가 대상

❌ 소득이 없거나 국세청을 통해 소득을 증명할 수 없는 경우

❌ 최근 3년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 기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 (만기 또는 해지 후 가입 가능)

 

 


✅ 어떻게 신청할 수 있을까?

 

신청 방법은 모바일 앱을 통한 비대면 가입이에요. 직접 은행을 방문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11개 은행 앱에서 신청하면 돼요.

 

📌 신청 가능 은행 :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기업, 국민, 부산, 광주, 전북, 경남, 대구은행

 

 

 


🔍 청년도약계좌, 가입해야 할까?

 

요즘 은행 금리가 계속 낮아지고 있어서, 9.54% 금리를 받을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는 사실상 ‘대박 적금’이에요. 특히 정부 지원금 + 비과세 혜택까지 감안하면, 5년 만기 후 받을 수 있는 금액이 훨씬 커지는 효과가 있어요.

 

하지만!

⚠️ 5년 동안 유지해야 한다는 점을 꼭 고려해야 해요.

⚠️ 중도 해지하면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없어요.

 


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더 좋아진 혜택으로 2월 신청이 열렸으니, 아직 가입하지 못하신 분들은 얼른 확인해보세요!

 

 

 

매주 올라오는 1인가구정보,

필요한 것만 골라서 알려드립니다

 

✅ 위클리픽 알림톡 신청하기 > 

 

 

이 아티클 어떠셨나요?

추천해요

댓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댓글 작성 중
전체 댓글
댓글작성
앱 설치주소를 메시지로 보내드립니다.
・ 하루 최대 2회까지 무료메시지 전송이 가능합니다.
・ 입력한 휴대폰 번호는 별도로 저장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