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쉽고 편리하게
이용해보세요!
공공임대주택, 서민 주거안정의 핵심이지만… 지을수록 적자라면 어떨까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건설형 공공임대주택 한 채당 약 1억 원의 적자가 발생하고 있다고 해요.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LH는 향후 5년간의 공공임대주택 지원단가를 추산하는 작업에 본격 착수했어요.
그럼, 왜 적자가 생기고 어떤 대책이 필요한지 지금부터 함께 알아봐요!
현재 LH는 직접 건설하는 공공임대주택 한 채당 실제 소요비용이 약 3억200만 원, 반면 정부가 지원하는 단가는 1억9100만 원 수준이에요.
즉, 1채당 약 1억 1천만 원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셈이죠.
이처럼 공공임대주택 지원단가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면서, LH의 부채가 누적되고 사업 지속 가능성에도 빨간불이 켜졌어요.
사실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정부 지원율은 예전엔 꽤 높았어요.
2016~2019년에는 80~90% 수준을 유지했지만, 최근에는 60%대 수준에 머물고 있어요.
지원금은 매년 5~7%씩 인상되고 있긴 하지만, 건설원가 상승률에는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에요.
지금처럼 건설원가가 계속 오르는 상황에선, 현행 공공임대주택 지원단가로는 공급을 지속하기 어렵다는 게 LH의 판단이에요.
LH는 올해 안으로 ‘공공주택 사업비 및 적정 재원분담 산정’이라는 연구 용역을 시작할 예정이에요.
이 연구를 통해 향후 2026~2030년까지의 적정 지원단가를 추산하고, 정부에 지원단가 인상을 공식 건의할 계획이에요.
주요 검토 내용은 다음과 같아요:
이번 용역에서는 매입임대주택에 대한 지원 현실화도 함께 논의돼요.
LH는 매입임대주택 정부 지원율을 2028년까지 95%로 끌어올릴 계획이에요.
이는 건설형 공공임대주택과 동일하게, 현재 지원율이 낮아 지속 가능성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에요.
단순히 집을 많이 짓는 게 아니라, 지속 가능하게 짓는 방식으로 정책을 전환하려는 거죠.
현재 LH의 문제는 단순히 적자가 아니라,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공공임대주택 지원단가예요. 공공임대는 '복지'인 동시에 '공공재'예요. 더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보려면, 지속 가능한 구조가 먼저 필요해요.
앞으로 발표될 LH의 연구 결과가 정책에 어떻게 반영될지 주목해보세요. 그리고 공공임대주택에 관심 있다면,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게 중요하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