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주거지원 끝판왕 ? 1.8억으로 10억 아파트 산다는 "지분형 주담대" 정리!

혼잘이슈
25-04-28읽음 2,116

"1.8억만 있어도 10억짜리 아파트를 살 수 있다?" 🤔

요즘 부동산 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 바로 '지분형 주택담보대출(지분형 주담대)' 이야기예요.

 

금융당국이 청년층과 신혼부부를 위해 준비 중인 이 제도는, 내 집 마련의 꿈을 조금 더 현실에 가깝게 만들어줄 수 있다는 기대와 함께, 과연 성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도 동시에 나오고 있어요.

 

1.8억으로 10억 아파트 산다는 말, 듣기엔 굉장히 솔깃하지만 실제로 가능한지, 또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궁금하시죠?

 

지금부터 지분형 주담대의 핵심과 시장의 반응까지, 하나하나 꼼꼼하게 풀어볼게요! 🔎

 

 

 


🤔 지분형 주담대, 대체 무슨 제도일까?

 

지분형 주담대는 쉽게 말하면, '정부와 집을 같이 사는' 구조에요.

정부(주택금융공사)가 집값의 일부를 투자하고, 소비자가 나머지를 부담하는 방식이죠.

 

나중에 집을 팔게 되면 집값 상승분이나 손실도 함께 나누게 돼요.

  • 정부: 집값 일부 '투자' 지원
  • 소비자: 나머지 부담 후, 대출 활용 가능
  • 매도 시: 이익/손실 비율대로 분배

 

지금까지 우리 사회는 '집=완전한 내 소유'라는 인식이 강했기 때문에, 이런 공유 개념이 아직은 낯설게 느껴질 수 있어요. 하지만 자금이 부족한 청년층에게는 분명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도 있어요.

 

 

 


💵 1.8억만 있으면 정말 10억짜리 아파트 살 수 있을까?

 

구체적으로 어떻게 되는지 예시로 살펴볼게요.

  • 10억 원짜리 아파트 구매
  • 주금공이 40%인 4억 원 투자
  • 소비자는 6억 원 부담
  • 이 6억 원 중 70%를 은행에서 대출(약 4.2억 원)
  • 결과적으로 현금 약 1억8000만 원만 있으면 집 매입 가능!

정리하면, 본인 현금 1.8억 정도만 있으면 10억짜리 아파트 주인이 될 수 있다는 거예요. 🏠

물론 정부가 투자한 금액에 대해선 연 2%대 사용료를 납부해야 하고, 나중에 매도할 때 집값이 올랐다면 그 차익을 일정 비율로 나눠야 해요.

 

구분 금액 지분 비율
자기자본 1억 8,000만 원 18%
대출 4억 2,000만 원 42%
한국주택금융공사 투자분 4억 원 40%

 

📍 지원 가능한 주택 한도

  • 서울: 10억 원 이하
  • 경기도: 6억 원 이하
  • 지방: 4억 원 이하

현재 금융당국은 올해 하반기 1000호 시범사업을 목표로 준비 중이에요. 하지만 세부 기준과 시기는 아직 최종 확정되지 않았다고 하니, 조금 더 기다려야 해요.

 

 

 


💻 시장 반응은? 기대하는 목소리가 더 많아요

 

부동산 전문가들은 지분형 주담대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어요.

  • "내 집 마련 진입장벽을 낮추는 좋은 시도"
  • "대출 부담을 줄여 청년층 자립을 도울 수 있다"
  • "정부 지분을 점차 사들여 최종적으로 소유권을 늘릴 수 있다는 점이 장점"

특히 지금처럼 서울 아파트 평균 가격이 14억 원을 넘는 상황에서는, 1.8억으로 10억 아파트 산다는 구상 자체가 젊은 세대에게 현실적인 희망이 될 수 있어요.

 

또 하나 주목할 점은, 주금공이 투자한 부분은 개인 부채로 잡히지 않기 때문에 한국 경제 전반의 가계부채 위험을 줄이는 데도 기여할 수 있다는 거예요. 이 점은 국제 신용평가사들의 평가에서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어요. 🌎

 

 

 


🔥 문제점은 없을까? 우려도 분명 있어요

 

그렇다고 마냥 장밋빛 전망만 있는 건 아니에요.

  • 지분형 주담대가 오히려 서울 집값을 더 끌어올릴 수 있다
  • 지방의 경우 집값 하락 시 세금으로 손실을 메워야 할 위험
  • 집값 상승 시 정부와 수익을 나누는 데 대한 소비자 반감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은 '내가 산 집은 내 거'라는 인식이 강해서, "내가 투자한 집인데 이익을 왜 나눠야 하지?" 하는 반감이 클 수밖에 없어요.

 

또 정책의 연속성 문제도 지적되고 있어요.

정권이 바뀔 때마다 부동산 정책 방향이 휘청였던 과거를 생각하면, 이번에는 제대로 된 일관성과 지속성이 중요해요.

 


📌 1.8억으로 10억 아파트 살기, 과연 현실이 될까?

 

'지분형 주담대'는 청년 세대에게 내 집 마련이라는 희망을 줄 수 있는 정책이에요.

 

하지만 세밀한 설계와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또 하나의 실험으로 끝날 수도 있어요.

 

1.8억으로 10억 아파트 산다는 구상이 실제로 가능해질지, 앞으로 발표될 구체적인 정책 세부사항을 꼼꼼히 체크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해요.

 

👉 관심 있다면 하반기 시범 사업 소식부터 꼭 챙겨보세요!

진짜 내 집 마련, 생각보다 가까워질 수도 있어요. 🏡✨

 

 


매주 올라오는 1인가구정보,

필요한 것만 골라서 알려드립니다

 

✅ 위클리픽 알림톡 신청하기 > 

이 아티클 어떠셨나요?

추천해요

댓글

댓글이 없습니다.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댓글 작성 중
전체 댓글
댓글작성
앱 설치주소를 메시지로 보내드립니다.
・ 하루 최대 2회까지 무료메시지 전송이 가능합니다.
・ 입력한 휴대폰 번호는 별도로 저장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