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쉽고 편리하게
이용해보세요!
“이제 프리랜서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다고요?”
그동안 실업급여는 ‘정규직’ 혹은 ‘시간제 근로자’ 등, 고용 형태가 명확한 일부 노동자들만의 혜택이었죠. 그런데 이제는 배달라이더, 프리랜서, 보험설계사처럼 고정된 근무시간 없이 일하는 분들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게 돼요!
바로 2027년부터 바뀌는 고용보험 제도 덕분인데요. “내가 해당될까?”, “언제부터 받을 수 있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하나하나 풀어드릴게요.
실업급여는 실직했을 때 최소한의 생계를 보장해주는 복지제도예요. 정규직이 권고사직이나 계약 종료로 직장을 잃었을 경우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일정 기간 동안 급여를 지원받을 수 있어요.
하지만 문제는 여기에 있었어요.
지금까지 고용보험은 ‘월 60시간(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사람’만 가입 가능했기 때문에, 프리랜서나 플랫폼 노동자처럼 고정된 출근 시간이 없는 직군은 아예 대상에서 배제됐다는 것! 소득이 일정하더라도 고용 형태가 불안정하다는 이유로 고용보험과 실업급여에서 소외된 거죠.
정부는 2025년 6월 입법예고를 시작으로, 고용보험의 가입 기준을 ‘시간’에서 ‘소득’ 중심으로 개편할 계획이에요. 개편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2027년 1월 시행 → 2028년 1월 소득 기준 반영으로 본격 적용될 예정이에요.
변경되는 핵심 포인트는 다음과 같아요.
즉, 소득이 일정한 수준만 넘으면 일의 형태나 장소에 관계없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리는 거예요!
이 개편의 가장 큰 수혜자는 바로 플랫폼 기반 비정형 노동자들이에요.
✅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등의 배달라이더
✅ 콘텐츠 제작자, 작가, 디자이너 같은 프리랜서
✅ 학습지 교사, 보험설계사 등 위촉 계약직 종사자
이전까지는 실직해도 아무런 사회적 보호망이 없었던 분들도, 소득 신고만 충실하면 고용보험에 가입하고,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거예요.
이미 많은 직장인들은 주 4.5일제와 함께 실업급여 확대에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어요.
“일은 했는데, 갑자기 일이 끊겼을 때 버틸 수 있는 제도가 없다면 그건 나라가 돌보지 않는다는 뜻 아니냐”는 의견도 많았죠.
물론 제도 도입이 마냥 쉬운 건 아니에요. 현실화되려면 반드시 필요한 조건들이 있어요.
소득을 기준으로 보험 가입 여부를 판단하려면 정확한 소득 신고와 확인 체계가 필수예요. 플랫폼 종사자들의 소득이 대부분 현금·비정기적이라 투명하게 신고되지 않는 문제가 있죠.
배달앱, 프리랜서 플랫폼들이 인건비 자료와 근무 정보 제공에 협조해야 해요. 일부 기업은 개인정보 문제를 이유로 자료 제공을 꺼리는 경우도 있어요.
실업급여는 보험 방식이라 노동자와 사용자(혹은 본인)가 일정 보험료를 내야 해요. 이때 소득이 적은 프리랜서에게 보험료 부담이 심하게 느껴질 수 있고, 반대로 수익 정보가 없는 사용자 입장에서도 의무 부담이 애매할 수 있어요.
Q. 나는 배달 알바인데 실업급여 받을 수 있나요?
A. 2027년 이후 소득 기준이 충족되면, 고용보험 가입 → 실업 시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해요.
Q. 프리랜서인데 매달 소득이 들쭉날쭉해요. 괜찮을까요?
A. 일정 소득 이상을 연 기준 혹은 월 평균 기준으로 계산할 가능성이 높아요. 소득이 들쭉날쭉해도, 평균이 일정 이상이면 대상이 될 수 있어요.
Q. 보험료는 누가 내나요?
A. 자영업자와 프리랜서는 본인이 전액 부담할 수 있어요. 그러나 일부 정부 지원 혹은 플랫폼 공동 부담 방안도 논의 중이에요.
고용의 형태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지금, 정규직 중심의 복지제도는 시대에 뒤처질 수밖에 없어요.
고용보험의 사각지대를 줄이고 실업급여의 대상을 넓히는 이번 개편은 더 많은 청년과 유연노동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변화임이 분명해요.
👉 당신도 해당될 수 있어요! 2027년이 오기 전, 소득 신고 습관 들이고, 플랫폼 노동자의 권리에 대한 관심도 함께 키워보세요.
2명이 추천했어요